측면 플레이트는 조 크러셔의 핵심 하중 지지 부품으로, 전면과 후면 벽을 연결하여 편심 축 베어링을 지지하고 횡력을 견뎌냅니다. ZG35CrMo/Q355D 재질로 제작되었으며, 플레이트 본체, 베어링 하우징 보어(동축도 ≤0.05mm), 옵션 가이드 슈트, 보강 리브, 플랜지 연결부로 구성됩니다.
제조 과정은 주강 주조(1500~1540°C 용탕 주입) 및 노멀라이징+템퍼링 후 정밀 가공(베어링 보어의 경우 라 ≤1.6 μm) 및 표면 코팅으로 구성됩니다. 품질 관리에는 결함에 대한 산/유타 검사, 경도 시험(220~260 헤비급), 그리고 동축도 ≤0.05 mm 확보를 위한 조립 시험이 포함됩니다.
5~8년의 서비스 수명을 통해 구조적 강성과 정밀한 구성 요소 정렬을 유지하여 안정적인 분쇄기 작동을 보장합니다.
측면판(좌우)은 조 크러셔 프레임의 핵심 부품으로, 양쪽에 위치하여 전면과 후면 벽을 연결하고 밀폐형 프레임 구조를 형성합니다. 측면판의 주요 기능은 편심축 베어링을 지지하고, 움직이는 조의 스윙 궤적을 제한하며, 파쇄 중 횡력을 견뎌내는 것입니다. 측면판의 구조적 강도와 조립 정밀도는 크러셔의 전반적인 강성, 작동 안정성, 베어링 수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하중 균형과 부품 배치를 보장하는 핵심 하중 지지 부품입니다.
I. 측판의 구성 및 구조
사이드 플레이트는 경량성과 고강도의 균형을 이루도록 설계되어 다양한 기계 모델(소형/중형 기계의 경우 500~2,000kg, 대형 기계의 경우 5,000kg 이상)의 하중 요건에 맞춰 조정 가능합니다. 주요 구성 요소 및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플레이트 바디 코어 하중 지지부는 두께 50~150mm(모델에 따라 다름)의 수직 직사각형 또는 사다리꼴 평판 형태로 제작됩니다. 측면 충격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표면 경도가 ≥220 HBW인 고강도 주강(ZG35CrMo) 또는 저합금 구조용 강재(Q355D)로 제작됩니다. 플레이트의 상단 및 하단 가장자리는 각각 프레임의 상단 및 하단 플레이트에 연결됩니다. 안쪽에는 베어링 하우징 보어와 가이드 구조가 가공되어 있으며, 바깥쪽에는 변형 저항성을 강화하기 위한 보강 리브가 설계되어 있습니다.
베어링 하우징 보어 플레이트의 상부에 있는 원형 관통 구멍은 편심 샤프트 베어링을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측면 플레이트의 핵심 기능 영역 역할을 합니다. 보어 직경은 베어링 모델(허용 오차 H7)에 따라 설계되며, 벽 두께는 베어링 외경의 1/3 이상입니다(하중 지지 강도를 보장하기 위해). 보어의 양쪽 끝은 베어링 외륜과 씰 커버를 배치하기 위해 계단식으로 가공됩니다(깊이 15~30mm). 보어의 내부 표면 거칠기는 라 ≤1.6μm입니다(베어링 마모 감소). 양쪽 측면 플레이트의 베어링 하우징 보어 동축도는 ≤0.05mm(대형 기계의 경우 ≤0.1mm)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작동 중에 비정상적인 소음이나 편심 샤프트 과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이드 슈트(일부 모델의 경우 옵션) 플레이트 내부 하단부에 가공된 종방향 슈트(움직이는 죠 쪽 플랜지보다 2~3mm 더 넓음)는 움직이는 죠의 스윙 궤적을 제한하여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보장합니다. 슈트 표면은 마찰을 줄이기 위해 담금질(HRC 50~55)되고 그리스가 도포됩니다. 슈트와 움직이는 죠 사이의 끼워맞춤 간격은 0.5~1mm로 조절됩니다. 간격이 너무 크면 움직이는 죠가 흔들릴 수 있으며, 간격이 너무 작으면 걸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보강 구조물
환형 보강 리브: 환형 리브(직사각형 단면, 폭 50~100mm)는 베어링 하우징 보어의 바깥쪽 주위에 주조되거나 용접되어 보어 주변의 전단 저항을 강화하고 과도한 힘으로 인한 변형을 방지합니다.
세로 보강 리브: 세로 리브(300~500mm 간격)는 판 두께의 1.5~2배 높이로 판 외면에 용접 또는 주조됩니다. 세로 리브는 상단 및 하단 가장자리에 가로 리브가 있는 격자 구조를 형성하여 전반적인 강성을 향상시킵니다(변형률 ≤0.5mm/m).
연결 및 위치 지정 구조
플랜지 모서리: 플랜지 모서리(플레이트보다 10~20mm 두꺼움)는 플레이트의 앞면과 뒷면 모서리에 가공되어 앞면 및 뒷면 벽과의 볼트 연결을 위해 가공됩니다(볼트 규격 M24~M48, 등급 8.8 이상). 위치 결정 핀 구멍(직경 20~40mm)은 플랜지 표면에 0.1mm 이하의 틈새로 가공되어 조립 정밀도를 보장합니다.
리프팅 홀: φ50~φ100mm 리프팅 구멍(나사산 또는 관통 구멍)이 플레이트 상단 또는 측면에 가공되어 취급 및 설치가 용이합니다. 구멍 주변은 찢어짐 방지를 위해 두껍게(≥40mm) 처리되어 있습니다.
2세. 측판 주조 공정 (주강 예시)
금형 및 모래 금형 준비
수지 모래 주조(소/중) 또는 규산나트륨 모래 주조(대)가 사용됩니다. 목재 또는 폼 패턴은 3D 모델을 기반으로 제작되며, 2.5~3%의 수축 허용치(주강의 선형 수축률 2.2~2.8%)를 갖습니다. 베어링 하우징 보어와 같은 주요 부위에는 모래 코어를 사용하고, 코어 표면에는 지르콘 분체 코팅(1~1.5mm 두께)을 도포하여 정밀도를 향상시킵니다.
사형틀 조립 시, 양쪽 측면 플레이트의 틀 대칭이 보장되며, 베어링 하우징 보어 코어의 동축 편차는 ≤0.1mm로 주조물의 치수 오류를 방지합니다.
녹이고 붓기
저인, 저유황 고철(P≤0.03%, S≤0.02%) 및 합금을 전기로에서 1540~1580°C로 용해합니다. 화학 조성을 조정하고(ZG35CrMo: C 0.32%~0.40%, 크 0.8%~1.1%, 모 0.2%~0.3%), 래들 정련(수소 함량 ≤2 피피엠)을 통해 가스 및 개재물을 제거합니다.
바닥 주입 시스템은 판의 양쪽 아랫면에서 동시에 주입하는 방식입니다. 주입 온도는 1500~1540°C이며, 주입 시간은 15~40분(중량에 따라 1000~8000kg)입니다. 이는 원활한 충진을 보장하고 슬래그 포집이나 콜드 셧(추운 닫다)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대형 판에는 수축공을 방지하기 위해 라이저(주조 중량의 15~20%)를 사용합니다.
셰이크아웃 및 열처리
주물은 200°C 이하로 냉각 후 셰이크아웃합니다. 라이저는 기계식 절삭으로 제거하고, 판 표면과 같은 높이로 연삭한 후, 플래시 및 샌드 접착부를 청소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