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 밀봉: 분쇄 중 발생하는 마찰열(최대 150°C의 온도)을 견뎌내어 밀폐 상태를 유지하고, 윤활유 누출이나 냉각수 유입을 방지합니다.
오염 방지: 먼지, 광석 입자 및 기타 이물질이 내부 윤활 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베어링과 기어의 마모를 줄입니다.
단열재: 고온 분쇄실과 저온 윤활 시스템을 분리하여 민감한 부품을 열 손상으로부터 보호합니다.
진동 흡수: 결합 부품 사이의 미세한 반경 방향 및 축 방향 진동을 흡수하여 소음을 줄이고 인접 부품의 수명을 연장합니다.
금속 프레임워크: 저탄소강(Q235 또는 10# 강)으로 제작된 원형 베이스로, 구조적 강성을 제공합니다. U자형 또는 L자형 단면을 갖추고 있어 밀봉재를 지지하고 열에 의한 치수 안정성을 보장합니다.
실링 라이너: 금속 프레임에 접합되거나 기계적으로 고정된 내마모성, 내열성 소재. 일반적인 소재는 다음과 같습니다.
고온 고무(EPDM 또는 비톤): 최대 200°C의 오일과 온도에 강하며, 중간 정도의 열이 필요한 분야에 사용됩니다.
흑연 내장 복합재: 내열성(최대 300°C)과 자체 윤활성이 향상되어 마찰이 심한 환경에 적합합니다.
금속 강화 펠트: 내열성 수지를 함침시킨 압축 양모 또는 합성 섬유로, 고르지 않은 표면에도 잘 적응합니다.
유지 홈: 금속 프레임에 원주형 홈을 만들어 밀봉 라이너를 고정하고 진동 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플랜지 모서리: 밀봉 라이너의 얇고 유연한 립으로, 맞물리는 표면(조정 링이나 메인 프레임)을 눌러 사전 부하 하에서 단단한 밀봉을 생성합니다.
통풍구(선택 사항): 금속 틀에 뚫린 작은 구멍으로 갇힌 공기나 습기를 방출하여 밀봉을 방해할 수 있는 압력 상승을 방지합니다.
재료 선택:
저탄소강(Q235)은 주조성, 용접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중간 수준(인장 강도 ≥375 엠파)이므로 선호됩니다. 고응력 적용 시에는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합금 주강(ZG230–450)이 사용됩니다.
패턴 만들기:
링의 외경(일반적으로 300~1200mm), 내경, 그리고 단면 형태(U/L자형)를 재현하기 위해 목재 또는 폼 패턴을 제작합니다. 냉각 수축을 고려하여 수축 허용치(1.2~1.5%)를 추가합니다.
조형:
그린 샌드 몰드는 코프와 드래그를 사용하여 제작되며, 모래 코어를 사용하여 내부 보어를 형성합니다. 몰드 캐비티는 점토 기반 워시로 코팅되어 주조물의 매끄러운 표면 마감을 보장합니다.
녹이고 붓기:
강철은 1500~1550°C의 큐폴라 또는 전기로에서 용해되며, 취성을 피하기 위해 화학 조성은 C 0.12~0.20%, 민 0.3~0.6%(Q235의 경우)으로 제어됩니다.
주형 주입은 1450~1480°C에서 주형틀을 사용하여 일정한 흐름 속도로 난류 없이 주형 공동을 채워 다공성을 줄입니다.
냉각 및 쉐이크아웃:
주조물은 열응력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형 내에서 12~24시간 동안 냉각된 후 진동을 통해 제거됩니다. 모래 잔여물은 숏 블라스팅(G40 강재 입자)을 사용하여 세척합니다.
열처리:
600~650°C(공랭)에서 어닐링하면 주조 응력이 완화되고 경도가 130~180 HBW로 낮아져 가공이 용이해집니다.
프레임워크 가공:
주조 링을 CNC 선반에 장착하여 외경, 내경, 플랜지 표면을 가공하고 0.5~1mm의 마감 여유를 둡니다. 주요 치수(예: 링 폭, 플랜지 두께)는 ±0.1mm 이내로 관리됩니다.
밀봉 라이너의 고정 홈은 CNC 밀링 머신을 사용하여 정밀한 깊이(2~5mm)와 너비(3~8mm)로 밀링하여 안전한 결합을 보장합니다.
실링 라이너 준비:
고무 라이너의 경우: EPDM 또는 비톤 시트를 다이커팅을 사용하여 ±0.5mm의 허용 오차로 크기에 맞게 절단합니다. 접착면을 샌드블라스팅(라25–50μm)으로 거칠게 처리하여 접착력을 향상시킵니다.
흑연 복합재의 경우: 압축 흑연 시트를 워터젯 절단을 사용하여 절단하고 모양을 잡아 링 전체에 걸쳐 균일한 두께(3~10mm)를 보장합니다.
라이너 본딩:
금속 프레임의 접착면을 아세톤으로 세척하여 오일과 이물질을 제거합니다. 내열성 접착제(에폭시 기반, 최대 200°C 사용 온도)를 0.1~0.2mm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합니다.
라이너는 유압 프레스(압력: 0.5~1 엠파)를 사용하여 프레임워크에 압착되고 80~100°C의 오븐에서 2~4시간 동안 경화되어 완전한 접착 강도를 얻습니다.
마무리 손질:
조립된 링은 밀봉 립의 표면이 매끄럽도록(라1.6~3.2μm) 마무리 선삭 가공되어 결합 부품과의 효과적인 접촉을 촉진합니다.
플랜지 가장자리의 날카로운 모서리를 제거하기 위해 버를 제거하여 설치 중 인접한 씰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합니다.
선택적 표면 처리:
금속 프레임은 습한 환경에서의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아연 도금(5~8μm)이나 에폭시 페인트로 코팅됩니다.
재료 테스트:
금속 프레임: 분광 분석을 통해 화학 조성(예: Q235: C ≤0.22%, 민 ≤1.4%)을 검증합니다. 인장 시험을 통해 강도 ≥375 MPa를 확인합니다.
밀봉 라이너: 고무 샘플은 경도 시험(EPDM의 경우 지주 A 60~80)과 열 노화 시험(70°C에서 72시간, 경도 변화 ≤±5 지주 A)을 거칩니다.
치수 정확도 검사:
좌표 측정기(CMM)는 중요한 치수, 즉 외경(±0.1mm), 내경(±0.1mm), 라이너 두께 균일성(≤0.05mm 변동)을 검사합니다.
플랜지 표면의 평탄도는 표면판과 촉침 게이지를 사용하여 측정하며 허용 오차는 ≤0.1mm/m입니다.
접합 강도 테스트:
샘플 링의 파괴 시험: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라이너의 일부를 프레임워크에 수직으로 잡아당기며, 고무 라이너의 경우 최소 3MPa, 흑연 복합재의 경우 5MPa의 접합 강도가 필요합니다.
씰 성능 테스트:
압력 테스트: 링을 테스트 고정 장치에 설치하고 30분 동안 0.3MPa의 공기 압력을 가한 후 비누 용액을 도포하여 누출이 감지되지 않는지 확인합니다.
열 순환: 링을 200°C에 1시간 동안 노출시킨 다음 25°C로 냉각합니다(100회 반복). 사후 테스트 검사에서 라이너 분리나 균열이 나타나지 않습니다.
시각 및 기능 검사:
밀봉 립은 찢김, 거품 또는 불규칙성이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확대경(10배)으로 검사합니다.
맞춤 구성 요소(조정 링, 메인 프레임)를 시험적으로 장착하여 밀봉 표면 전체에 걸쳐 적절한 정렬과 접촉 압력이 있는지 확인합니다.